BAA 자산 배분 모멘텀
달러에 대해 생각 해보았습니다. 지금의 달러는 어떤지, 앞으로는 어떨지.. 2016년에 달러는 1060원이던가.. 그랬었어요. 점점 올라서 1100원, 1200원, 1300원 .. 작년에는 1395원도 갔었죠, 올해는 1260 - 1340원 사이를 오르락 내리락 하고있습니다. 지금 현재는 달러는 하락 하면서 금이 상승하고 있고.. 생각 할 수록 어려운 것이 환율 인 것 같습니다.
지난 10년간 미국주식은 신나게 올랐습니다. 앞으로는 어떨까요? 달러는 올해 같이 오르락 내리락은 하겠지만 장기적으로 1100원대로 내려갈 것 이라 생각합니다. 인플레이션이 진정되고 있고, 미국 경제는 침체로 접어들었으며, 금리도 꼭대기에 있어 어쨌든 그들은 달러를 풀어야 할 것 같으니까요.
그런 관점에서 저는 추후 경기가 개선 된 후에 어디에 눈을 돌려야 할지 고민 중 입니다. 한국, 중국, 인도네시아, 인도, 베트남.. 인구 구조 좋으면서 발전을 하고있는 나라는 어디인지 눈여겨 봐야겠습니다. 지금은 베트남 밖에 안보이지만 .. 인도나 브라질, 인도네시아 등에도 관심을 가져야 할 것 같아습니다.
2023년 11월 동적자산배분전략중 하나인 BAA로 모멘텀 계산을 했을 때 한국의 1개월 수익률이 15%(미국상장 아이셰어즈 MSCI ETF기준)로 압도적이었습니다. 그러나 한국은 최근 1개월 수익률이 높았지만 인도는 3,6,12개월 수익률이 골고루 좋은 편이었습니다. 그러나 인구구조, 경제성장률 면에서 경쟁력이 있기 때문에 관심가질 필요가 있을 것 같습니다.
미국 모멘텀 지수는 169였습니다. 음.. 생각보다 괜찮았네? 싶네요 ㅎㅎㅎ 미국은 3개월 수익률을 제외하고는 골고루 좋았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