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금융통화 위원회는 년 8회 진행 됩니다. 이번에 2023년 12월 19일 오후에 11월 30일 금리 결정 했던 위원회 의사록이 공개 되었는데요 물가상승우려가 주된 원인으로 작용하여 금리가 동결 되었습니다.
한국은행은 물가안정과 금융안정이라는 목표를 가지고 통화정책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통화정책의 대표적 수단이 금리 조정입니다.
기준금리를 국어사전에서 찾아보면
"자금을 조달하거나 운용할 때 적용하는 금리의 기준이 되는 금리. 한 나라의 중앙은행에서 금융 정세의 변화에 따라 일정 기간마다 결정하며, 금융 시장에서 각종 금리를 지배한다." 라고 나옵니다. 즉 한국은행이 금용기관과 환매조건부증권 매매 또는 자금대출 등 거래 시 기준이 되는 정책금리 라는 뜻입니다.
기준금리는 장기 단기 시장금리 및 예금과 대출금리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기준금리의 상승, 하락에 따라 시장금리도 영향을 받습니다. 한국은행이 채택하고 있는 물가안정목표제는 정책의 최종목표인 "물가상승률" 자체를 목표로 설정하는 운영방식입니다. 한국은행이 설정하고 있는 목표물가 상승률은 2%입니다. 중기적으로 판단하여 2%를 넘을지 안넘을지에 따라 기준금리를 조절하는 것입니다.
2024년 미국 FOMC 와 한국 금융통화위원회 일정 입니다.
금리가 상승할 경우 경제주체의 투자가 위축되므로 자산가격이 하락합니다. 부의 감소 효과가 나타나므로 점차 소비도 위축됩니다. 2022년도의 부동산 및 채권, 주식시장 .. 난리난거 기억하시죠..아.. 저는 이번에도 터졌는데 .. 속쓰립니다.
어쨌든 그래서 공부가 필요한 것이겠죵.. 암튼
또 금리가 상승하면 환율에도 영향을 미치지요. 왜냐면 금리가 타국은 그대로 인데 비해 한국만 높아질 경우에는 해외자본의 유입이 늘어나 원화가치가 상승하게 되어 환율이 낮아집니다. 이런 여러 루투에서 소비, 투자, 수출에 영향을 주게 됩니다.
여러분은 금리 전망 어떻게 하고 계신가요?
김영익 교수님은 2024년도 1분기 적정금리 수준이 3.3%정도라고 전망하셨고.. 미국은 12월FOMC 발표에서 내년에는 인하 한다고 말했는데.. 또 여러분 잘 아시는 김광석 교수님은 또 그렇게 보지 않으시고 홍춘욱 박사님도 약간 생각이 다르시더라고요.
여튼 내려가봐야 약간 내려가겠지만 여전히 높은 금리에서 길게 유지 될 것으로 생각하고 대응하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오늘도 성공투자 하시기 바랍니다.
2023년 12 월 수출입 동향 (0) | 2024.01.01 |
---|---|
11월 OECD 선행지수 (1) | 2023.12.31 |
2023년 11월 OECD선행지수 (0) | 2023.12.18 |
개인 투자자가 알아야 할 미국 3대 월간지표 (0) | 2023.12.16 |
미국 연준 2023년 12월 FOMC (0) | 2023.12.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