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은 우리가 그토록 고대하고 기다리는 금리인하에 대해 말해 보려고 합니다. 지금 미국이 금리 인상을 시작하고 2년간 연속적으로 금리를 올렸고 5.5%에 달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작년에는 파월이 2024년에 3번 이상 금리를 인하 할 것 이라고 언지는 했고요. 그러나 아래에서 보시는 것 처럼 실업률은 완전고용 수준인 4% 보다 더 낮은 수준입니다. 연속실업수당청구건수도 마찬가지로 줄었습니다. 그러면 ... 과연 금리가 내릴 수 있을까요?
금리가 5%를 넘는 미국의 중소기업들은 과연 얼마나 버틸까.. 를 생각하며 한계기업들은 이제 곧 터지고 정리 될 것으로 보입니다. 태영데시앙 아파트로 이름이 알려진 태영건설도 최근 뉴스에 나오고 있고요.
3월이 되면 주식시장에서 퇴출 되는 종목들도 꽤 있을 것으로 피바람 예상 되고 있습니다. 그럼 나는 뭐를 해야 대비가 되나.... 요즘 그 고민을 하고 있습니다. 여러분은 어떻게 자산배분 하고 있을까 궁금합니다.
자산배분은 어떻게 해야하나... 금리 동결구간에서는 주식이 좋을테지만.. 11월부터 2개월간 무지하게 오른 탓에 현재 조정중입니다. 금가격은 뭐 .. 이미 많이 올랐고, 구리가격은 하락중이고 참 생각이 복잡해 집니다.
미국소비자물가지수는 1월 11일에 발표 될 예정입니다. 발표 되는대로 업데이트 하도록 하겠습니다.
자산은 이자가 높을 때 사고 이자가 낮을 때 판다. (3) | 2024.01.11 |
---|---|
2024년 달라지는 부동산 제도-신혼, 출산 가구 편 (0) | 2024.01.10 |
주식은 RSI 지표로 해도 충분합니다. (1) | 2024.01.06 |
미국 비농업 고용지수 (0) | 2024.01.05 |
2023년 12월 ETF 업종별 모멘텀 (3) | 2024.01.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