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투자 초보자 일 때 알면 좋은 것들

돈 공부

by 지구여행자 미아 2024. 1. 25. 01:05

본문

여직 돈을 벌지는 못했지만 초보라면 기본적으로 알아야 하는 것들을 몇가지 적어보려고 합니다. 터지면서 배우게 된 것들이 다음턴을 기다리게 만들어주니까요.

 

첫 번째, 금리 입니다. 금리는 돈의 신호등이라는 말 여러번 말씀 드렸는데요. 금리와 주식시장이 연관 매우 깊습니다. Fed에서 금리를 올리는 것, 내리는 것 다 이유가 있으니까요. 금리를 올린다는 것은 경기 과열을 식히거나, 예방하는 차원 또는 인플레이션이 발생함에 따른 조치 이고 금리를 내리는 것은 그 속도와 스텝의 폭에 따라 점진적으로 경기를 부양하거나 혹은 금융위기에 따른 광폭의 인하가 있겠습니다. 호흡으로 보자면 금리인상은 돈을 흡입 하는 것이고 금리인하는 돈을 불어내는 것과 비교할 수 있습니다. 여기서 주의할 것은 금리 인하가 주식상승을 불러오는 것은 금리인하 한 즉시가 아니라 충분히 돈이 많이 풀리고 난 후 이므로 금리 인하 시작 하고 일정 시간이 흘러야 한다는 것을 알 필요가 있습니다. 금리 인하 시작점에서 주식시장은 헬이 펼쳐질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합니다.

출처 :  fred.stlouisfed.org , Fed 금리

두 번째, OECD 경기 선행 지수 입니다. 경기선행지수는 우리나라 통계청에서도 발표하고 있습니다만 OECD는 그보다 1개월 내지는 1.5개월 정도 먼저 발표 합니다. 65개월 미국 장기 유동성 사이클과 함께 고려해서 주식 매수 타임을 생각 해도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출처 :  fred.stlouisfed.org , OECD경기선행지수

 

보는 것 처럼 2023년 2월을 기점으로 턴 해서 계속 상승중입다. 주식시장은 2023년 1월 부터 계속 올랐습니다. 

 

세 번째, 개별 주식으로 재미를 못 봤다면 ETF또는 펀드를 매매 하는 것이 저는 오히려 쉬웠습니다. 물타기가 아니라 불타기를 해야 하는 개별종목은 RSI나 BB를 보며 그 타이밍을 보거나 혹은 차트를 보며 매매하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닙니다. 국내 주식은 PBR을 기준으로 매매한다고 하는데 그럴려면 종목마다 PBR밴드를 스토킹해야 합니다. 일정 이하로 내려가면 매수하고 일정수준 이상이 되면 매도하고 즉... 박스권 매매를 해야 한다는 것인데, 그보다는 좋은 펀드를 고르고 골라 매수하고 위 첫번째, 두번째 내용에 비추어 매수 매도를 하는 것이 내 경험상으로는 돈을 더 벌었습니다.

 

네 번째, 자산배분입니다. 자산배분이란 주식, 채권, 현금, 금 등을 알맞은 비중으로 보유하고 밸런스를 맞추며 매매 하는 것인데요. 예를 들면  K-ALL WEATHER전략을 들 수 있습니다. 

각 25%씩 100%를 맞추고 주기적으로 어느자산이 오르고 어느자산이 떨어져서 비중이 달라져 있으면, 오른자산을 매도해서 떨어진 자산을 매수하는 식으로 배분을 다시하는 것 입니다. 여러가지 패턴이 있는데요, 강환국 유투버님의 "11-4천국 5-10지옥"에 따라 주식의 비중을 조절하는 방법도 있고 몇가지 전략이 있으니 취향에 맞게 선택하시면 되겠습니다.

금리상승구간에서는 - 분할매수할 것 까지는 개인적 견해  입니다.

 

 

이상 몇 가지 적어보았는데 어떠셨나요? 여러분의 투자에 도움이 되시기를 바랍니다.

'돈 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식시장 위험지표  (1) 2024.01.31
S&P 500 영업 이익률은 계속 하락 중  (0) 2024.01.25
반도체는 AI로 흐른다.  (3) 2024.01.23
전력반도체 SiC, GaN  (0) 2024.01.16
12월 OECD 선행지수  (0) 2024.01.15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