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0살에 은퇴한다고 해도100세 시대를 살고 있는 인간으로써 투자활동은 멈출 수 없고 피할 수 없습니다. 그런데 아무때나 주식시장에 뛰어드는 것도 안될 소리죠. 그래서 우리가 우선적으로 알아야 할 것은 시장 위험인자입니다. 오늘은 주식시장이 보내는 위험신호 즉 금융시장 위험인자에 대해 알아보려고 합니다.
1. 국채 금리 역전 현상
금리역전현상은 단기금리보다 장기금리가 낮은 것을 의미합닏다. Fed에서 금리를 올리면 만기가 짧은 채권은 팍팍 반영하고 긴 채권은 느긋하게 또는 반응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그런데 우리가 알아야 할 것은 이렇게 금리역전 현상이 발생한 후, 즉 단기금리가 비정상적으로 비싸진 후에 발생하는 실물시장의 어려움 입니다.
30년물 국채수익률 보다 5년물 국채수익률이 높으면 모기지금리가 잠김
10년물 국채수익률 보다 2년물 국채수익률이 높으면 소비, 투자가 잠김
10년물 국채수익률 보다 1년물 국채수익률이 높으면 회사채, 단기금융시장이 잠김
10년물 국채수익률 보다 3개월물 국채수익률이 높으면 은행조달금리 급상승, 시중에 돈이 없음
그런데
10년물 국채수익률 보다 3개월물 국채수익률이 높은 상황이 발생 한 후 6개월 이내 리세션이 발생할 가능성 또한 매우 커진다.
0을 기준으로 선 아래로 내려간 후 보이는 회색라인은 경기침체 또는 위기를 표현한 것이다. 보이듯 0이하로 내려간 다음 매우 높은 확율로 그레이 라인이 있다.
그럼 지금은 얼마일까? 2024년 1월 31일 현재 네이버에서 검색한 국채수익률 화면이다.
10 TECH 2는 - 0.257...
2022년 6월에 이미 0아래로 내려갔다.
자 이제 우리는 어떻게 대비 할 것인가..
김광석교수님 경제 읽어주는 남자 - 부동산 파트 내용 정리 (1) | 2024.02.04 |
---|---|
2024년 1월 수출입 동향 (0) | 2024.02.04 |
S&P 500 영업 이익률은 계속 하락 중 (0) | 2024.01.25 |
투자 초보자 일 때 알면 좋은 것들 (2) | 2024.01.25 |
반도체는 AI로 흐른다. (3) | 2024.01.23 |